건강상담 (일반인 누구나 로그인 없이 이용 가능합니다)

모커리한방병원 건강상담 게시판은 보다 많은 환자분들과 건강정보를 공유하고자 개방형 게시판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 답변완료
      2024-06-23

    [척추관협착증] 오른쪽이 까치발을 할 수 없고 종아리가 가늘어졌습니다

    모커리 한방병원 환자 이야기 중에 저하고 같은 증상이 있던 분이 치료가 되었다는 영상을 보고 연락을 드립니다.

     

    10 년도 전에 오른쪽 엉덩이 쪽이 너무 아프고 허리가 왼쪽으로 눈에 띄이게 구부려져 있었는데 허리를 바로 세우면 오른쪽 엉덩이 통증이 너무 심해졌습니다.

    주위에 척추교정을 잘하시는 분이 있어서 3 년 간을 다니며 치료해서 몸을 바로 세우게 되었고 엉덩이 통증은 약간 나아지기는 했으나 계속 있었습니다.

    그런 얼마 후에 갑자기 오른쪽 발로 까치발을 설 수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때보니 이미 오른쪽 종아리 안쪽 근육이 많이 위축되어 있었습니다.

    미국 엘에이 지역에 살고 있는데 최근에 주변에 좌골신경통을 잘 치료한다는 대만계 한의사를 소개를 받아서 몇 달 침을 맞고 엉덩이 통증이 거의 사라졌지만 오른쪽 발로 까치발을 못서는 것은 여전합니다.

    오른쪽 까치발을 못서는 이유로 걸음을 걸을때에 오른쪽을 약간 절둑거리며 걷고 빠르게 걷지를 못하고 한 시간 이상을 걸으면 다리에 힘이 빠지는 것 같습니다. 또한 허리와 다리에 힘이 조금씩 계속 약해지는 것 같습니다.

    현재 나이가 70 세 인데 직업이 앉아서 컴퓨터로 일을 하므로 평생을 너무 오래 앉아있었던 것인지 허리쪽 척추가 뒤로 튀어나와 있고 허리가 구부정해서 허리를 앞으로 내밀면 엉덩이 통증이 더 심해지므로 신전동작 운동을 많이 못했습니다. 침 맞고 엉덩이 통증이 많이 줄어들어서 이 것도 나아졌습니다.

    내년에는 한국을 방문을 해서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인데 그 동안 어떻게 관리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강남 모커리한방병원 최재호 원장입니다.

     

    지금 말씀하신 내용은 환자분의 연세나 증상을 고려했을 때 협착증 증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년에 한국에 오셔서 치료를 받기 전까지 관리는 저희가 유튜브에 올려 놓은 <협착증 환자가 반드시 매일 꼭 해야 되는 4가지 운동 - 협착증 운동 1단계> 운동을 따라서 열심히 하시길 바랍니다. 자세한 운동법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협착증 환자가 반드시 매일 꼭 해야 되는 4가지 운동 - 협착증 운동 1단계 ▼

    그리고 협착증 환자에게 걷기운동도 도움이 되는데 걷기운동은 가능한 실내에서 걸으시길 바랍니다. 

     

    현재 신전운동을 하신다고 하셨는데 증상이 심한 협착증 환자분은 신전운동을 하면 안됩니다. 협착증에 신전운동이 좋다고 하는 건 굉장히 잘못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허리에서 신경이 눌리는 특히 중심성 협착증 환자는 허리를 신전하면 즉, 쭉 펴면 신경이 더 눌립니다. 환자분께서도 신전동작을 했을 때 엉덩이 통증이 더 심해진다고 하셨는데요. 이런 상태에서 신전동작을 할 이유도 없고 해서는 안됩니다. 어떤 운동이든 통증을 참아가며 하는 것은 물론이고 통증을 유발하는 운동을 하시면 안됩니다.  

      

    신전동작 같은 운동보다는 저희가 가르쳐드린 운동을 중심으로 하시고 또한 오래 앉아 있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중간 중간 앉았다 일어섰다, 앉았다 일어섰다 해주시고 위에 알려드린 누워서 하는 운동, 실내 걷기운동을 꾸준히 하시어 잘 관리해주시다가 내년쯤 오셔서 치료 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치료후기는 보셨다 하시니까 따로 첨부 드리진 않지만 홈페이지 로그인을 하셔서 저희가 올려놓은 협착증 환자분들의 치료후기 영상을 하나하나 꼭 다 보시길 바랍니다.   

     

    환자분의 완쾌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상담글은 건강상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식 진료가 아니며 제한된 정보에 기반한 의사의 의견과 조언으로써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가능하면 병원에서 전문의료진의 정규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