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근육통이라는 질환은 그 어떤 질환보다 진단이 매우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에 현재 섬유근육통은 어떻게 진단하고 있으며 어디서 섬유근육통진단을 받을 수 있는지, 또 진단을 받는 의미가 무엇이고 이러한 섬유근육통진단의 한계는 무엇인지 등 섬유근육통진단에 대에 관한 7가지 핵심 내용을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보통의 다른 일반적인 질환들은 정확한 검사를 하면 진단이 정확히 됩니다. 그런데 섬유근육통은 다른 일반적인 질환들과 달리 검사를 한다고 해서 정확하게 진단이 되는 병이 아닙니다. 혈액검사, 영상검사, 근골격계 검사 및 신경학적인 검사 등 어떤 검사를 하더라도 섬유근육통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현대의학에서 섬유근육통의 원인에 대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병의 원인을 알 수 없으니 어떤 검사를 해도 진단이 정확히 되지 않는 것입니다.
섬유근육통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섬유근육통을 진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섬유근육통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만한 질환들을 감별해내어 이를 배제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섬유근육통은 다른 자가면역질환, 예를 들면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루푸스, 강직성척추염 등과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고, 또 염증성 근육병, 갑상선기능저하증 등과도 증상이 유사합니다. 그래서 섬유근육통 진단 시 이런 다른 유사한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 여러 가지 검사를 하는 것입니다. 즉 섬유근육통과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는 다른 질환이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죠. 여러 검사들을 통해 섬유근육통이 아닌 다른 질환이 없다고 확인되어야 섬유근육통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섬유근육통 진단과 관련해 가장 많이 연구하고, 발표하는 곳은 미국 류마티스학회입니다. 그래서 현재 섬유근육통 진단도 미국 류마티스학회에서 제시한 분류 기준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섬유근육통 진단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곳이 대학병원의 류마티스 내과입니다. 따라서 만약 섬유근육통이 의심될 만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아직 진단을 받아보지 않았다면, 대학병원의 류마티스 내과에 가셔서 진단을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섬유근육통은 여러 검사를 해봐도 특별한 이상소견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본인에게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여러 병원을 돌아다니며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목이나 어깨, 허리가 아프면 척추병원이나 통증과에 가서 진료를 받고, 과민성대장증후군과 같은 문제가 있으면 내과에 가서 진료를 받습니다. 우울감이나 불안감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정신과에 방문하기도 합니다. 그러다 방문한 병원에서 검사상 이상이 없다는 말을 듣거나 또 치료가 안 된다면 또 다른 병원을 방문하게 되고, 이렇게 계속해서 병원을 바꿔가면서 진단과 치료를 받다가 결국 원인을 알 수 없다는 얘기를 듣게 됩니다. 그러면 환자는 막막하고, 지치고, 답답하고, 기댈 곳이 없다는 생각에 좌절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섬유근육통 진단을 받게 되면 병의 원인을 몰라서 생기는 답답함이나 막막함, 좌절감 등이 많이 해소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섬유근육통 진단을 받을 경우 치료 시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왜냐하면 섬유근육통 환자는 목통증, 허리통증 등 일반적인 통증질환 환자와는 치료 방법이 확연하게 다른 특징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미 섬유근육통 진단을 정확히 받은 경우라면, 섬유근육통 환자에게 맞는 치료 방식, 예를 들면 침 치료를 할 때도 더 깊숙한 심부근육에 놓고, 치료의 강도도 훨씬 세게 하는 이러한 치료방법으로 치료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환자 입장에서도 더 큰 도움이 됩니다. 섬유근육통 치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보시길 바랍니다.
섬유근육통 진단을 위해서는 미국 류마티스학회에서 제시한 전신통증지수와 증상 중증도 이 두 가지 척도가 이용됩니다. 전신통증지수는 전신을 19군데로 나누어 통증이 있는 부위의 개수를 합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고, 증상 중증도는 지난 한 주간의 피로도와 아침에 자고 일어났을 때의 기분, 기억력이나 집중력 정도, 신체 증상 정도를 점수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즉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을 종합하여 일정 점수 이상이 되면 섬유근육통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준의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하고, 또 통증의 원인이 될 만한 다른 질환들이 없어야 합니다.
섬유근육통은 다른 말로 섬유근육통증후군, 섬유근통증후군이라고도 부르는데, ‘증후군’이란 유사한 증상들이 나타나지만, 정확한 병의 까닭을 밝히지 못하는 경우를 모아놓은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섬유근육통이라는 질환은 환자마다 매우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고, 아픈 부위도 다 다른데 이렇게 어떠한 특징적인 증상이 있는 사람들을 하나의 진단명 아래 모아놓은 것입니다. 그래서 미래에 의학기술이 더 발전하여 섬유근육통의 원인에 대해 새로운 견해가 제시된다면, 그때는 섬유근육통 환자들이 각각의 병의 원인에 따라서 여러 개의 세부적인 질환으로 분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렇듯 섬유근육통은 아직까지 원인에 대해 정확히 밝혀진 것이 없고, 또 저마다의 발병 계기도 다 다르기 때문에 이런 한계점으로 인해 진단 기준이 계속 바뀌어왔고, 앞으로도 또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섬유근육통 치료로 쓰이는 항경련제, 항우울제 등은 중추신경계, 즉 뇌에서 통증을 조절하는 기능에 이상이 있다는 가설에 따라 이 뇌를 치료하는 약물입니다. 그런데 이런 약들을 꾸준히 복용해도 효과가 없는 분들, 또는 이 약들의 부작용으로 힘들어하는 분들은 아픈 곳을 직접 치료해주어 몸을 움직일 수 있게 만들어주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섬유근육통 한방치료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섬유근육통 치료에 대한 수많은 연구결과 중에 공통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는 것이 몸을 움직이는 것, 즉 적절한 운동과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섬유근육통 한방치료는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직접적으로 치료해주어 몸을 움직일 수 있게 해주고, 운동이 가능한 상태를 만들어주어 장기적으로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를 가지고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섬유근육통은 아픈 곳을 직접적으로 치료해주어야 좋아진다는 내용이 담긴 영상은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더보기 >
보다 많은 환자분들과 건강정보를 공유하고자 개방형 게시판으로 건강상담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목과 허리 통증•디스크•협착증•교통사고•어깨•무릎 등 궁금하신 질문을 남겨주시면 전문의가 최대한 자세하게 답변 드립니다.
제목 | |||||||||
---|---|---|---|---|---|---|---|---|---|
|
|||||||||
|
|||||||||
|
|||||||||